건강보험료 신용카드 납부방법
국민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 방법은 크게 온라인 납부와 오프라인 납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온라인 납부 방법에는 은행즉시이체, 신용카드 납부, 가상계좌 납부, 인터넷지로사이트 납부가 있습니다. 그 중에 오늘은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1인 지역가입자로 처음 변경된 후 3월에 처음 납부하는 경우인데 건강보험료가 많이 오른 것 같아 화가 나네요. 병원도 자주 안가는데.. 나중을 위해 대비한다 생각하고 납부하려고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기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건강보험료를 신용카드로 납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방문해야 합니다.
첫화면에서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그인 방법은 공동인증서 로그인과 브라우저인증서 로그인인데 아무거나 편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처음 방문한 경우 개인의 공동인증서를 등록해야 로그인이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하세요.
로그인이 완료됐다면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서 보험료 조회/납부를 클릭합니다.
화면 왼쪽에 보험료납부 메뉴를 클릭하면 본격적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다음 화면 중간 쯤에 보시면 조회에서 납부할 보험료를 월보험료(완납) 클릭을 해줍니다.
그리고 화면 밑을 보시면 납부방법을 선택해야하는데 건강보험료를 온라인으로 납부하는 방법 총 4가지 중 오늘은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단 신용카드로 납부 시 약간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신용카드의 경우 0.8%, 체크카드의 경우 0.5%의 수수료가 발생하니 참고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 2월 건강보험료는 54,820원이고, 납부대행수수료는 54,820원의 0.8%인 438원입니다. 이번달만 신용카드로 납부하고 다음달부터는 자동이체를 걸어서 수수료 없이 납부해야겠네요.
신용카드 납부를 클릭하면 카드정보를 입력하는 창이 나옵니다. 빠짐 없이 정확하게 입력을 하고 카드인증정상여부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정상 카드라고 뜨고, 이제 결제가 진행됩니다.
저는 신한카드로 납부를 했네요. 건강보험료 신용카드 납부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수수료가 얼마 안되긴 하지만 좀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감액 방법 2가지가 있는데 모두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료 감액 방법 2가지
첫번째 방법은 종이 고지서가 아닌 이메일 고지서를 신청하면 200원 할인이 됩니다. 이메일 고지서 신청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방법은 자동이체로 납부할 경우 또 200원 할인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료 외에 국민연금의 경우도 자동이체와 이메일 청구서 설정을 하면 각각 230원, 200원 할인이 돼 총 830원 할인이 되니 참고하셔서 할인 받으면 좋겠네요.